본문 바로가기
건설 정보/기술사 공부일지 및 정보

기술사 합격 노하우 - 평가 기준과 멘탈 관리

by 그로업 2022. 9. 1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가벼운 주제로 작성을 하려고 합니다.

제3자 입장에서는 조금 진지할 주제로 받아들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기술사를 처음 준비하시는 분들 뿐만 아니라,

현재 기술사를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희망적이고 포기하지 말라는 메세지를 가볍게 전달드리고자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건축구조)기술사의 합격 기준

 

건축구조기술사의 합격기준은 Q-net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기술사도 합격기준은 동일합니다.)

 

필기 평균 60점 이상(과락 없음), 실기(면접) 평균 60점 이상일 시, 최종 기술사 합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필기, 실기 모두 절대평가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절대평가의 함정이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필기는 총 4교시에 걸쳐 진행되며, 각 교시별로 100분간 진행됩니다.

큐넷에서 응시 선택 시, 9시까지 도착하라고 지침을 받을 것이지만 8시까지 도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각 교시별로 진행되는 시간일정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 바랍니다.

 

 

들쑥날쑥한 기술사 합격률때문에 미치겠습니다!

 

 

위 그림은 건축구조기술사 시험에 대한 필기/실기 합격자수 통계자료입니다. (큐넷 제공)

보시는바와 같이 모든기간에 걸쳐 평균 합격률 7% 정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국기술사(PE)의 1차 면제를 인정해줬던 2000년대 초반의 표본을 제외한다면 대략 2~5% 평균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럼 건축구조기술사의 평균 합격률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필기 평균 합격률 : 2~5%
  • 실기(면접) 평균 합격률 : 60~70%

 

128회 필기 건축구조기술사 필기 합격률 : 0.58%

 

127회 실기 건축구조기술사 실기 합격률 : 42.3%

 

그러나, 128회 필기 합격률과 127회 실기(면접) 합격률을 보면,

합격률이 뭔가 확 낮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자면, 127회 필기합격자수 및 합격률은 65명, 20% 를 기록했습니다.

아마 역대급의 높은 필기합격률을 기록했을 것입니다.

 

기술사 시험은 보통 실기(면접) 보다는 필기 합격률이 굉장히 낮을 뿐더러,

필기 합격시 2년간의 필기시험 면제 혜택을 주기 때문에 필기를 합격한다면 보통 합격했다고 간주합니다.

 

128회 건축구조기술사 필기 시험을 치루신 분들은, 대부분 평소보다 평균점수가 5~10점 정도 하락했을 것입니다.

 

왜 그랬을까요?

 

상대평가를 가장한 절대평가 시스템

 

기술사 시험은 겉으로는 절대평가 시스템이지만, 실제로는 상대평가 시스템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멘탈관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피셜하게 어떻다 라고는 정해진 바 없습니다.)

 

실제 산업인력공단의 지침에 따르면 기술사 시험은 절대평가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기술사는 국가의 최고기술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에 절대평가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어렵지 않을까요?

 

그래서 수험자 입장에서는 "절대평가" 라고 생각하면서 시험을 준비하면 안되고,

"상대평가" 라고 생각하며 시험을 준비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내가 이번 회차에 몇점을 맞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그냥 60점을 넘었느냐가 중요합니다.

60점 이상의 점수는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회차에 평균점수가 몇점이 하락했다는 것이 내 실력의 하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전체 수험자들 중에서 순위가 변경되었구나 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합격을 위한 멘탈관리라고 생각이 듭니다.

댓글